haksoolforum_header.jpg

Total 843
국사의 근본정신은 불교 최고의 사상인 화엄과 천태를 일불승으로서 지향하고 정혜쌍수로서 선종까지를 포섭하여 불교사상계를 통일하여 국가에 귀일하고자 했다. 이러한 이념은 곧 신라 원효의 「화쟁론」,「통불교」사상을 부흥하고 구현함으로써 당시의 폐단을 바로 잡아 불교의 근본정신에 환원하려고한 것이다. 그의 실천적 방법론..
(4) 주전론(鑄錢論) 국사는 교학의 부흥, 속장의 간행, 문화의 교류, 통일적 국가사상의 정립등 눈부신 활약과 공헌을 하였다. 그러나 한편으로는 왕의 자문에 응하여 정무에 헌책함으로써 국리민복에 이바지하였으니 그 가운데 가장 유명한 것이 주전론이다. 종래의 화폐는 주로 물물교환이었으며 국사 때로부터 약 백여 년 전 성..
(3) 불교문화(佛敎文化)의 교류(交流)와 국제적(國際的) 지위(地位) 위에서 이미 살펴본 바와 같이 불교문화를 수집하고 정리하고 교류한 점에 있어서 동서고금을 막론하고 그 업적은 유일무이한 것이었다. 선종 2년 송에 건너가기 이전에 수차례에 걸쳐 송의 고승인 정원법사와의 서신왕래로 학계의 소식을 교환한 일이 있었다. 또 ..
(2)천태종(天台宗) 개종(開宗)과 불교사상(佛敎思想)의 귀일(歸一) 국사 이전의 고려불교는 소위 「오교구산」이라 하는 신라불교의 여러 종파가 대개 그대로 전승되어서 고려불교로서의 독창적인 특색은 없었다고 볼 수 있다. 본래 천태종이란 법화경의 「회삼귀일」, 「일심삼관」등의 사상을 가지고 천태산의 지자대사에 의하여 조..
의천 대각국사는 세수(世壽) 47세라는 짧은 생애이지만 그의 업적(業績)은 전무후무(前無後無)라 할 만큼 어느 하나 훌륭하지 않은 것이 없었다. (1) 장소 수집(章疏 蒐集)과 속장 개판(續藏 開板) 그러한 가운데서 가장 두드러진 몇 가지를 간추려 보면 첫째는 장소(章疏)의 수집(蒐集), 정리(整理)와 경장(經藏)의 개판(開板), 간행(..
1. 생애(生涯) 대각국사(大覺國師) 의천(義天)은 고려(高麗)가 가장 흥륭(興隆)하던 시기인 제11대 문종(文宗) 9년에 탄생하여 제15대 숙종(肅宗) 6년에 입적한 (1055~1101) 고승(高僧)으로서, 대학자(大學者)이며, 대사상가(大思想家) 이었다. 대각국사(大覺國師)는 문종(文宗)의 넷째 왕자로 탄생하였다. 성(姓)은 왕씨(王氏), 이름..
식당작법(食堂作法) ‘식당작법’이란 총림의 스님들이 대법회시 재당 등의 장소에서 설판재자가 준비한 공양을 받고 중승은 그 보답으로 법 공양을 베풀게 되는 일련의 의식을 가리킨다. 또 작법이란 말이 의미하듯 일상의 공양과는 달리 공양시의 의식문이 범음, 범패로 행해지며 이 때 사물(종, 목어, 운판, 북)을 비롯한 각종 법구가 ..
욕건이(欲健而) 만나라를 세우고자 먼저 정법계진언을 외우옵니다. 향수나열(香羞羅列) 향기로운 공양을 나열케 되옴은 시주의 진실된 정성이오나, 공양이 두루 원만키를 바란다면 모름지기 가지변화를 의식해야 하옵는 바, 삼보님만을 우러르오며 생각하오니 특별히 가지하심을 베풀어 주소서. 시방의 불, 법, 승께 귀의 하옵니..
헌좌게(獻座偈) 묘한 깨달음의 자리여! 뛰어난 장엄이여! 시방삼세 일체제불 자리하사 정각을 이루셨네. 대중께오선 제가 지금 마련해온 이 자리를 보리수하 길상초라 여기시고 불도를 이루소서. 옴 바아라 미나야 사바하 (3번) 다게(茶偈) 제가 이제 이 한 잔의 차를 지니와 영산 큰 법회에 올리오니 올리옵는 정성심을 ..
천수바라(千手鈑羅) 대중스님이 천수경을 독경하는 가운데 바라(鈑羅)춤을 추는 의식 *바라춤(鈑羅舞)-鈑羅(동(銅)으로 만든 심벌즈처럼 새긴 불구(佛具))를 양손에 들고 추는 춤, 천수다라니(千手多羅尼)가 베풀어짐에 환희(歡喜)로운 마음을 몸짓으로 나타내는 남성적(男性的)인 춤 사방찬(四方讚) 첫 번째 동쪽에 감로수 뿌리오..
합장게(合掌偈) 모두워진 이 손을 연꽃인양 여기 오면 몸 또한 님의 뜻 받드옵는 공양구 일레 정성스런 이 마음 진실된 모습으로 향내음 가득한 큰 법회를 찬탄하옵니다. 고향게(告香偈) 향연(香煙)은 두루 하여 삼천세계 덮었으며 고요하고 밝은 마음 팔만번뇌 벗사오니 오로지 바라옴은 삼보님의 대자대비 신향(信香)임을 헤..
건회소(建會疏) 괘불을 법회도량에 모시고 난 뒤 대중이 함께 우러러 뵈며 이 자리에 모시게 된 연유와 법회를 시작하려 한다는 내용을 영산대법회의 본존이신 석존께 아뢰는 글이다. 의식 전체의 구성면에서 보면 이 소를 올림으로 해서 괘불이운이 완료되었음과 법회가 곧 시작됨을 대중에게 알리는 것이 된다. 내용을 살피면 도..
시련(侍輦) 연이란 임금이 타던 가마를 가리키는 것으로, 연을 모신다 함은 곧 그 연에 탈 왕급(王級)에 해당되는 분을 맞이해 모신다는 뜻이다. 시련에서의 주인공은 ‘옹호게’에 나타나 있듯 시방의 제현성과 법왕, 제석, 사천왕 그리고 가람을 옹호하는 8부의 신중을 말하는데 이들은 일찍이 불법의 귀의한 신중으로 법회가 베풀어..
영산재란 불기(佛紀) 약 2500년전 석가모니(釋迦牟尼) 부처님이 인도 영취산(靈鷲山)에서 법화경(法華經)을 설법하였을때의 모습을 재연한 불교의식이다. 이 의식은 기원은 분명치 않으나 '조선불교통사'에 의하면 조선전기부터 성행했다고 한다. 봉원사나 백련사 등 주로 태고종 사찰에서 맥을 잇고 있으며, 스님들의 전수 노력으로 그..
[찬불가 이야기] 4. 조학유의 찬불가 운동 - 찬불가 창작 조학유는 1927년 4월에 발행된 '불교' 지 28호 제언을 통해 찬불가의 필요성을 언급하고 있다. 그리고 그가 작사한 찬불가와 작곡자 미상의 악보 24곡을 연재하였다. 조학유가 남긴 찬불가 운동에 관한 업적은 앞으로 계속 연구되어야 할 중요한 과제라고 생각한다. 그는 찬불가..
   51  52  53  54  55  56  57  


불교일보 동영상 전문채널
서울 불교방송
가장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