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aksoolforum_header.jpg

 
작성일 : 02-01-31 00:00
[학술포럼] 美 한국불교 연구 선도자 루이스 랭카스터 박사 대담
 글쓴이 : .
  추천 : 0   비추천 : 0  

 
루이스 랭카스터 박사 - 유재신 교수 《미국에서 한국불교 연구의 선구자로 평가받고 있눈 루이스 랭카스터(70) 전 캘리포니아주립 버클리대 교수가 5월 말에 개최되는 세계전자문화지도협의회(ECAI)의 서울대회 준비를 위해 27일 방한했다. 1996년 랭카스터 교수의 주도로 설립된 ECAI는 문화정보의 국가간 공유를 위해 문화정보자료의 데이터베이스화 및 표준화 작업을 추진해 왔다. 28일 동아일보사를 방문한 랭카스터 교수와 연세대 대학원에 교환교수로 체류 중인 있는 캐나다 토론토대 유재신 교수(70)와의 대담을 마련했다.》
 
▽유재신〓랭카스터 교수는 미국에서 한국불교 연구의 대부(代父) 같은 분이십니다. 박성배, 조성택, 조은숙 교수 등 미국에서 한국불교로 박사학위를 받은 사람들은 대부분 랭카스터 교수의 제자입니다. 저도 1960년대부터 지금까지 랭카스터 교수의 도움을 받아서 버클리에서 한국의 종교문화에 관한 책을 8권이나 냈습니다. 그 중에 불교에 관한 두 권은 랭커스터 교수와 함께 만들었지요. 걸레스님 중광을 미국에 제대로된 화가로 소개한 것도 랭카스터 교수였습니다. 랭커스터 교수 같은 세계적인 학자들이 한국을 객관적으로 알리도록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랭카스터〓한국문화는 중국문화와 다른 북방문화입니다. 흔히 한국불교를 중국불교의 맥락 속에서 이해하려 하지만 한국불교는 통불교(Pan-Buddhism)입니다. 특정 종파에 얽매이지 않는 전통을 가지고 있다는 것이지요. 한국불교를 중국불교의 맥락에서 바라봐서는 제대로 이해할 수 없습니다. 더 넓은 시야에서 바라봐야 합니다. 북방 호족문화의 맥락을 이해해야 진정으로 한국불교를 이해할 수 있다는 것이지요. 한국의 대표적 승려인 원효나, 한국의 가장 큰 종단인 조계종이 모두 여러 종파를 아우르고 넘어선 불교가 아닙니까.
 
▽유〓오히려 한국이 중국불교에 영향을 주기도 했지요. 예컨대 승랑(僧郞)은 중국의 삼론종 형성에 큰 기여를 했습니다. 일본불교의 원류도 한국불교지요. 랭카스터 교수와 제가 공동저술한 책에서도 이를 분명히 밝혀 놨습니다. 이렇게 랭카스터 교수님과 같은 세계적인 학자가 객관적으로 주장하는 것은 세계학계에서 대단히 중요합니다.
 
▽랭카스터〓고려시대에 팔만대장경을 만들 때도 중국 송나라의 판본만을 가지고 한 것이 아닙니다. 주변국의 여러 판본을 비교하면서 만들었고 송나라 판본은 그 여러 판본 중 하나였을 뿐이지요. 당시에는 특히 북방 계열의 판본에 관심을 많이 가졌는데 이는 한국문화와 북방문화와의 친화성을 보여주는 좋은 증거입니다. 한국문화는 많은 문화를 흡수하고 통합해서 만들어졌습니다. 대단한 소화력을 가진 문화지요. 중국문화를 동경했던 소중화(小中華) 의식은 17세기경 나온 것입니다.
 
▽유〓국내에서 진행되고 있는 팔만대장경의 전산화 작업도, 실상 그것을 제일 먼저 추진한 것은 랭카스터 교수였습니다. 그런데 국내에서 팔만대장경의 전산화를 하겠다고 찾아가자 그 동안 하던 작업의 성과를 그대로 다 넘겨주셨지요.
 
▽랭카스터〓1988년부터 제가 재직하고 있는 캘리포니아주립대에서 개인적으로 팔만대장경의 전산화 작업을 시작했습니다. 그런데 1992년경 한국에서 종림, 혜목 스님이 찾아와서 본격적으로 팔만대장경의 전산화를 추진한다며 도움을 청하더군요. 한국에서 만들어진 것이고 한국에서 더 제대로 하겠다는 데 제가 주저할 이유가 있었겠습니까. 팔만대장경 같은 소중한 문화재의 데이터는 누가 소유하느냐가 중요한 것이 아니지요.
 
◆ 루이스 랭카스터
·미국 위스컨신대 철학박사
·동아시아 및 중앙아시아 불교 전공
·세계전자문화지도협의회(ECAI) 창립
·전 캘리포니아 주립 버클리대 교수(2000년 퇴임)
·주요 저서:‘중국과 티베트의 초기 선(禪)’
‘현대 한국의 종교와 사회’‘한국 불교 경전’ 등.
◆ 유재신
·미국 하트포드 신학대학원 문학석사
·캐나다 맥매스터대 철학석사 및 철학박사
·캐나다 토론토대 동아시아학부 교수
·한국종교문화연구원장
·주요 저서 : ‘한국의 무속 종교’‘한국의 불교’(전4권)
‘한국의 천주교’ 등.
 

 
   
 



불교일보 동영상 전문채널
서울 불교방송
가장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