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aksoolforum_header.jpg

Total 547
상가의 음역. 화합하여 모여 있는 무리. 초기 교단에서는 부처님을 비롯하여 출가 수행자들이 한데 모여서 집단 생활을 하였는데, 그들을 가리켜 부르는 말이 바로 승가였다. 거기서 유래되어 점차로 불교 교단을 가리키는 말이 되었다. 교리 해석상으로 볼 때, 승가 구성원의 수는 단순히 많다는 것만을 의미하지 않고, 구체적으로 몇 명 ..
불교 설화 및 경전의 내용을 도상(圖像)을 통해서 표현한 것. 변상(變相)이라는 말은 5세기 초부터 중국 문헌에 등장하기 시작했다. 특히 당 나라 때 성행했다. 변(變), 변상(變相). ⇒ 만다라(曼茶羅). 변상+(變相) 정토의 장엄한 광경, 또는 지옥의 모습 등을 묘사해 놓은 그림. 정토나 지옥이 변화하고 움직이는 모습을 표현해 놓..
불교에서, 아침저녁으로 도량(道場)을 돌아다니면서 목탁을 두드리고 천수다라니(千手陀羅尼)를 외는 일.
부처님이 설한 교법을 분류 해석하여 판별하는 것. 대표적인 예로서, 3시교(時敎), 5시(時) 8교(敎), 5교(敎) 10종(宗), 2쌍(雙) 4중(重) 등이 있다. 특히 중국 불교에서 성행했으며, 교상 판석의 내용에 따라 각기 다른 종파가 성립되기도 하였다. 판교(判敎). 교판(敎判).
사미가 지켜야 하는 10항의 기본 계율. 사미니의 경우도 동일하다. 살생하지 말라는 불살생계(不殺生戒), 훔치지 말라는 불투도계(不偸盜戒), 음욕을 품지 말라는 불음계(不 戒), 거짓말하지 말라는 불망어계(不妄語戒), 술을 마시지 말라는 불음주계(不飮酒戒), 향수나 꽃다발로 바르거나 치장하지 말라는 불도식향만계(不塗飾香 戒), 노..
출가 수행자로서의 자격과 위의(威儀)를 얻기 위해서 갖추어야 하는 계(戒). 일반적으로 사미와 사미니를 거친 뒤에 비구 또는 비구니로서의 인정을 받게 되는 의식을 치를 때 구족계를 받는다. 구족계를 받아야 비로소 자격을 온전히 갖춘 출가자가 되는 것이다.
인간 세계, 현실 세계. 부처님이 출현하여 교화하는 세계. 이 세상의 중생은 안팎의 온갖 고통과 고뇌를 인내해야 한다는 뜻을 지닌 말. 사바세계. *감인(堪忍), 잡악(雜惡), 잡회(雜會).
6욕천의 넷째 세계. 현재 미륵보살이 설법하고 있는 곳. 미래에 부처가 될 보살의 거처인 내원(內院)이 있는 곳. 석가모니도 일찍이 이곳에서 수행했다고 한다. 여기서의 하루는 인간계의 400년에 상당하고, 수명은 4,000세라고 한다. 희족천(喜足天), 지족천(知足天), 묘족촌(妙足天), 도사다천(覩史多天), 도솔타천. 도솔. → 육욕천. ..
①이 세상에서 죽은 뒤에 극락 정토라든가 도솔천 등에서 다시 태어나는 것. 극락 정토에 다시 태어나는 것을 가리켜 극락 왕생 또는 정토 왕생이라 하며, 그 밖의 정토에 태어나는 것은 시방(十方) 왕생이며, 도솔천(兜率天)에 태어나는 것은 도솔 왕생이라 한다. 왕생할 수 있는 방법으로는 염불, 선행, 불보살에 대한 신앙 등이 있다. 왕..
불교의 이상향. 수카바티는 지극히 즐겁고 안락하다는 뜻을 지닌다. 오직 기쁨만이 넘치고 고통은 전혀 없는 땅이 극락이다. 극락은 곳곳에 연꽃이 가득 피어 있고, 극락조가 노래하며, 모든 번뇌와 고통은 그림자조차 없는 빛의 세계이다. 극락 세계는 우리가 살고 있는 사바 세계에서 서쪽으로 십만억 불토(佛土)를 지난 곳에 있는 청정한..
좌법(坐法)의 하나. 석가모니의 좌법에서 유래됨. 양 다리를 교차시켜서 앉되, 왼쪽 발을 오른쪽 허벅다리 위에 올려놓고, 오른쪽 발을 왼쪽 허벅다리에 올려놓는다. 여러 가지 좌법 중에서 결가부좌가 가장 안온하여 피로하지 않다고 함. 전가좌(全跏坐), 본가좌(本跏坐), 불좌(佛坐), 여래좌(如來坐). 결가(結跏).
크쉬티란 대지(大地), 토지(土地), 인류(人類) 등을 뜻하며, 가르바란 자궁(子宮), 태아(胎兒), 회태(懷胎), 장(藏) 등을 뜻함. 중생들을 구제하기 위해서 참고 견디며 포용하는 것이 마치 대지와 같다는 뜻에서 붙여진 이름. 지사제게바(枳師帝揭婆).
아모가바즈라의 번역. 사람 이름. 705∼774년 생존. 진언종(眞言宗)의 부법 제6조. 북인도의 바라문 가문 출신. 720년에 중국으로 들어가 역경에 종사했다. 함광(含光), 혜초(慧超), 혜과(惠果), 혜랑(慧朗), 원교(元皎), 각초(覺超) 등 6대 제자에게 법을 전했다. 아목거발절라(阿目 跋折羅). 불공금강(不空金剛).
부처님의 신체적인 특징인 *32상(相)의 하나. 어깨가 매우 둥글고 풍만하다는 특징. 견박원만상(肩膊圓滿相).
자신의 본성을 투철하게 봄으로써 실상(實相)을 깨달아 정각(正覺)을 이루는 것.
   31  32  33  34  35  36  37  


불교일보 동영상 전문채널
서울 불교방송
가장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