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aksoolforum_header.jpg

 
작성일 : 06-09-20 00:00
[불교어록방] 공양물에 담긴 의미.(초,향,차,꽃,과일,쌀)
 글쓴이 : 전영숙 기…
  추천 : 0   비추천 : 0  

<b>공양물에 담긴 의미 </b>

초,향,차,꽃,과일,쌀 등 여섯가지 공양물을 육법공양(六法供養)이라 합니다.
육법(六法)이란 깨달음과 관련된 6가지 법을 의미합니다.

1.초-지혜의 등불

등은 세상을 밝히는 지혜를 내포하고 있습니다.
특히 초는 자신을 태워(자비) 세상을 밝혀주는(지혜) 대승적인 뜻이 포함되어 있어 등 공양의 공덕을 더욱 잘 나타내고 있습니다.

2.향-해탈의 향기

등불은 강렬하게 어둠을 없애주지만 가려져 있거나 깊숙이 숨겨져 있는 어두운 곳까지 미치지 못합니다.
그러나 향은 가려진 곳에도 향기를 두루 나눠주는 공덕이 있습니다.
불가에서는 향을 해탈향이라 하는데 이는 부처님의 깨달음의 향기가 시방세계에 두루 미친다는 뜻을 내포하고 있습니다.

3.차-열반의 맛

부처님께 올리는 차는 보통 차가 아니라 감로차(甘露茶)입니다.
괴로움에 빠져있는 중생에게 부처님의 가르침이 바로 감로수이며 이를 형상화한 것이 바로 차 공양입니다

4.꽃-보살행의 아름다움

열매가 맺기 위해서는 먼저 꽃을 피워야 합니다.
따라서 꽃은 열매를 맺기 위한 가장 치열한 노력의 모습입니다.
불가에서는 '깨달음'을 얻기 위한 보살행의 치열함을 울긋불긋 피어나는 꽃의 아름다움에 비유했습니다. 꽃을 공양 올리는 것은 세상을 아름답게 가꾸겠다는 보살행의 서원이며 실천행인 것입니다.

5.과일-깨달음의 열매

과일은 오랜 노력으로 이루어진 결과 물 입니다.
우리들의 지극한 수행이 열매를 맺기를 바라며 올리는 공양물이 바로 과일 입니다

6.쌀-깨달음의 기쁨

봄부터 수많은 노력을 한 후 가을에 추수할 때의 기쁨처럼, 수행의 결과로 얻은 깨달음의 기쁨은 말로 표현할 수가 없습니다.
쌀은 깨달음의 기쁨을 나타내는 상징으로 쌀을 올리는 것은 지극한 깨달음의 기쁨을 얻고자 하는 마음을 표현한 것입니다.

 
   
 



불교일보 동영상 전문채널
서울 불교방송
가장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