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aksoolforum_header.jpg

 
작성일 : 07-10-12 00:00
[전문불교코너] [알아두면 좋은 불자 상식]
 글쓴이 : 전수진 기…
  추천 : 0   비추천 : 0  
[알아두면 좋은 불자 상식]

<b> [법당예절] </b>

일반사찰에서는 법당에 들어서면 가운데 상단이 마련되어 있어서 불보살님들을 모시었고, 그 좌우에 신중단이 설치되어 있는데, 상단의 주좌를 기준으로 가운데 통로를 어간이라 하고 법당의 정면 벽으로 난 가운데 문을 어간문이라고 합니다.

들어설 때는 측면으로 난 문을 이용하거나 어간문이 아닌 좌, 우갓쪽의 문을 이용하여야 합니다.

부처님 전에 향이나 초를 공양하기 위하여 향과 초를 준비한 경우에도 이미 촛불이 켜져 있거나 향이 사루어져 있으면 향과 초를 그대로 부처님 전에 올려놓는 것으로 공양을 대신하여야 합니다.

자리에 서게 되면 먼저 부처님 전에 삼배를 올립니다.

오체투지의 삼배를 올리기 전에 반배를 먼저 하고 큰절로 삼배합니다.

삼배의 마지막 절을 마치고는 고두배를 올리며, 세 번째의 절을 모두 마치고는, 다시 합장 반배를 합니다.

절을 한 다음에는 조용히 자리에 앉아 자신의 마음자리을 觀합니다.

법당에서 나올 때에는 먼저 법당 안에 다른 법우님이 남아있게 되는지를 확인합니다.

자기가 마지막으로 법당을 나오게 되어서 법당 안에 사람이 없게 되는 경우에는 촛불을 끄고 각 기물을 확인하여 화재 등의 예방에 주의를 기울여야 합니다.

법당을 나올 때도 들어갈 때와 마찬가지로 합장 자세로 법당의 옆문으로 와서 상단의 부처님 전에 합장 반배한 후 뒷걸음으로 법당문을 나옵니다.

 
<b>[절하는법]</b>

● 삼배라는 것은
부처님의 마음, 스승의 마음, 자기의 마음에다 모든 것을 다 같이 넣고 굴려서 합장 경배하는 것입니다.

일체의 마음과 둘이 아닌 데다가 일배를 올리고 둘 아니게 행하며 돌아가는데다 일배를 올리는 것입니다.

● 반배하는 법
합장은 손을 통해서 나의 마음을 모으고 나아가서 육체와 마음이 둘이 아니며, 나와 남이 둘이 아니며, 그러므로 전체가 둘이 아닌 하나임을 뜻하는 것입니다.

합장은 두 손바닥과 열 손가락을 합하여 어긋나거나, 벌어지지 않게 합니다.

손목은 가슴에서 5cm 정도 떨어지게 하여 45도 각도로 세우고 양쪽 팔꿈치가 거의 직선이 되도록 합니다.

손 끝을 향하도록 자연스럽게 세우며 고개는 반듯하게 합니다.

위와 같은 자세로 허리와 머리를 60도 정도 숙여서 공손히 반절하는 것을 반배 또는 합장례라고 합니다.

● 반배는 이럴 때...

*절문을 들어설 때
*법당에 들어가거나 나오기 전
*불단 앞에서 헌화를 하거나
*향, 초 그 밖의 공양물을 올리기 직전과 올린 후 삼배나 108배 등의
오체투지 하기 과 마친 후 반배를 합니다.
*스님이나 법우를 만났을 때 반배로서 서로의 따뜻한 마음을 나누어 줍니다


<b>[오체투지]</b>

① 합장한 자세로 반배를 한 다음, 무릎을 꿇고 이마가 닿을 지점에 두 손을 나란히 짚으면서 엎드린다.
② 무릎을 꿇고 엎드릴 때 오른발이 밑으로 왼발이 위로 가도록 포갠다.
이때 두 무릎 사이는 한 뼘 띄우고 양 팔굽은 양 무릎에 닿게 한다.
③ 부처님을 받들어 모시는 동작으로 손을 뒤집어 귀 아래까지 들어올린다.
④ 머리를 들고 허리를 일으켜 세우면서 본래의 합장 자세를 취한다.
⑤ 일어설 때에는 오른손으로 바닥(무릎)을 짚고 일어나 두 번을 반복합니다.
삼정례의 마지막 절을 할 때는(세 번째 - 고두례) 엎드린 채 고개와 두 손만을 들어 합장하고 자신의 발원을 觀합니다.
⑥ 다시 절하고 일어난다.
예불문의 마지막 구절인 <유원 무진 삼보...>에서 발원하는 절이라 하여 유원반배라 하기도 합니다.
삼배를 올리고 나서 마음 속으로 깊이 둥글려서 주인공에다 일임하십시요.
법당에 들어와서는 내 일거수 일투속을 부처님모습에다 다 융합을 시키고,

또 법당에서 나갈 때는 언제나 나한테 융합을 시켜서 같이 가져나가라는 것입니다.

항상 뭘 보거나 듣거나 그러면 벌써 같이 더불어 생각하고 생각하기 이전에 벌써 말이 나오고 알게 되는데 이 생각을 정신계와 물질계가 같이 굴려야 옳은 일입니다.
그러므로 불상을 볼 때 처음에는 형상으로 보다가 나중에는 참부처님으로 보고 공심인 공법으로써 용무를 하시는 진짜 부처님으로 보게 되는 것입니다.
우리는 가만히 앉아 있으면서도 천차만별의 일을 할 수 있을 때 평화스러운 자유인이 되는 것입니다.


<b>[도량예절]</b>

⊙ 항상 밝은 미소로 스님이나 불자끼리 만났을 경우 합장하여 인사합니다.
⊙ 법당 안에서는 목탁을 친다거나, 종을 쳐서는 안됩니다.
⊙ 도량에서는 뒷짐을 지거나 주머니에 손을 넣지 않고 양손을 손가락 부분이 서로 교차되게 하여 배꼽 아래 단전에 대면 바로 차수의 자세가 됩니다.
이것은 밖으로 향하는 여러 의식들을 차수를 통하여 나의 내면으로 귀의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입니다.
⊙ 사찰에 있는 모든 물건은 삼보의 귀중한 공용물이므로 소중히 하며 항상 제자리에 두어야 합니다.


<b>[경전] </b>

경을 보되 그 경에서 참뜻을 놓치는 사람은 마치 창밖의 꽃을 보고 유리에 머리를 부딪쳐 죽는 벌과 같다고 했습니다.
부처님께서 강을 건넜으면 뗏목을 버려라 하셨습니다.

이 세상에는 강을 건너신 분들의 뗏목, 즉 가르침이 남아 있습니다.

그렇지만 그 뗏목들은 강 이쪽의 것이 아니라 강 저쪽의 것입니다.

손짓을 해서 부른다고 건너편 뗏목이 내 앞으로 오지는 않습니다.

그러므로 우리를 각자의 뗏목을 스스로 만들어 건너야 합니다.

나의 뗏목이란 무엇인가? 내 참 마음이 나의 뗏목입니다.

 

모든 것을 나의 근본에다 맡기고 가는 것이 나의 뗏목을 타고 강을 건너는 것입니다 .

경전은 삼보 가운데 하나인 법보이며, 부처님의 진리가 담긴 책으로 항상 소중히 간직해야 합니다.

경전에 먼지나 더러운 것이 묻어 있을 경우 입으로 불어 털지 말고 깨끗한 수건으로 잘 닦아내야 하며 더러운 손으로 만져서도 안됩니다.

경전 위에 다른 책이나 물건을 함부로 올려 놓지 말며, 항상 높고 깨끗한 곳에 잘 간직합니다.

 
   
 



불교일보 동영상 전문채널
서울 불교방송
가장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