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aksoolforum_header.jpg

 
작성일 : 17-01-02 20:35
[전문불교코너] '김윤겸 필 영남기행화첩' 문화재청 보물 지정 예고
 글쓴이 : 전수진기자
  추천 : 0   비추천 : 0  

진재(眞宰) 김윤겸(1711~1775년)의 화첩 '김윤겸 필 영남기행화첩(金允謙 筆 嶺南紀行畵帖)'이 국가지정문화재 보물로 지정 예고됐다.

‘김윤겸 필 영남기행화첩’은 진재(眞宰) 김윤겸(1711~1775년)이 합천, 거창, 함양, 산청과 부산(동래) 등 영남지역의 명승지를 유람하고 그린 14장의 화첩이다.

이 작품은 김윤겸이 1770년(영조 46) 소촌 찰방에 임용될 당시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되는 18세기 후반의 대표적인 경상도 지역 진경산수화이다.

이 작품은 조선 후기 선비들의 여행과 시문서화(詩文書畵) 예술의 창작 상황을 잘 보여주며, 작품 자체로도 과감한 생략이 가미된 단순한 표현, 옅은 청색으로 표현한 해맑은 선염(渲染) 등 김윤겸의 독자적인 회화 세계를 잘 드러낸 그의 대표작이다. 


김윤겸(金允謙, 1711~1775)은 본관이 안동으로, 자는 극양(克讓), 호는 진재(眞宰)·산초(山樵)·묵초(默樵) 등이다.  

‘청자 상감퇴화초화문 표주박모양 주전자 및 승반’은 퇴화(堆花) 기법으로 초화문(草花文)을 베푼 주전자와 승반(밑받침 접시)이다. 주전자와 승반이 한 묶음으로 구성돼 있어 더욱 높은 가치를 지니고 있다. 또, 생동감 넘치는 문양 등에서 세련된 퇴화 기법의 정수를 유감없이 보여주는 우수한 작품이다.  

‘청자 죽순모양 주전자’는 지정된 다른 상형청자(象形靑磁)에서 볼 수 없는 죽순(竹筍)을 형상화한 상형청자로, 여러 식물 모양 청자 가운데서도 조형과 장식, 그리고 유색(釉色)이 완벽하게 조화를 이루고 있는 최상급의 청자로 평가된다.  

‘청자 투각연당초문 붓꽂이’는 상형과 투각(透刻)의 두 가지 기법이 어우러져 밀도 있게 표현됐으며 특히, 푸른빛의 유색이 유달리 뛰어나다. 고려청자 붓꽂이는 많은 예가 남아 있지는 않지만, 묵호·연적 등 문방구들과 더불어 고급품이 많은데 이 붓꽂이는 사각형의 몸체와 용머리 장식이 인상적이다.  

‘경주 불국사 삼장보살도’는 1739년 밀기(密機), 채원(彩元), 서징(瑞澄) 등 경북지역에서 활동하던 화승들이 경주 거동사(巨洞寺) 오주암(五周庵)에서 제작해 불영사에 봉안했다는 분명한 화기를 남기고 있어 18세기 전반기 삼장보살도 도상 및 화풍연구에 중요한 자료이다.

‘곡성 도림사 아미타여래설법도’는 도림사 보광전의 후불화(後佛畵)로 봉안된 것으로 1730년 철매(哲梅)의 증명 아래 수화원(首畵員) 승려인 채인(彩仁), 진행(眞行), 즉심(卽心), 각천(覺天), 책활(策活) 등이 제작한 것이다.  

‘몽산화상법어약록(언해)’는 중국 원나라의 고승인 몽산화상(蒙山和尙) 덕이(德異, 1231~?)의 법어를 약록(略錄, 간략하게 줄여 적은 서책)한 것을 조선 초기의 승려 신미(信眉)가 토를 달고 우리말로 번역한 책이다.  

문화재청은 이번에 국가지정문화재(보물)로 지정 예고한 ‘김윤겸 필 영남기행화첩’ 등 7건에 대해 30일간의 예고 기간 동안 각계의 의견을 수렴·검토하고 문화재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국가지정문화재로 지정할 예정이다.

 

 

 

 

 





 
   
 



불교일보 동영상 전문채널
서울 불교방송
가장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