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ulkyonews_header.jpg

 
작성일 : 15-01-05 21:54
[교양/문화] 문화재청'삼국유사 권1.2'등 17건 국가보물지정예고
 글쓴이 : 곽선영기자
 

고(故) 파른 손보기(1922~2010) 박사가 소장하다가 지난 2013년 1월 그의 유족이 연세대박물관에 기증한 왕력편(王曆篇) 포함 조선 초기 삼국유사 판본


문화재청(청장 나선화)은 삼국유사 권1~2 등 17건을 국가지정문화재 보물로 지정 예고했다고 5일 밝혔다.

문화재청에 따르면 삼국유사 권1~2는 2권 1책만이 남아 있어 자료로서 한계는 있으나, 임신본(壬申本·1512년) 이전에 간행된 판본이라는 점이 중요하다. 문화재청은 “지금까지 임신본의 판독하기 어려운 글자들은 비교할 대상이 없었으나 이 판본으로 인해 해결의 실마리를 찾을 수 있게 됐다”며 “현존하지 않는 인용 문헌을 확인할 수 있게 되었다는 점에서도 큰 의미가 있다”고 설명했다.

삼국유사와 더불어 이번에 보물로 지정 예고된 문화재들은 대부분 조선 후기 불교 문화재로 구성됐다.

 


논산쌍계사좌상.jpg

                                        논산 쌍계사 소조석가여래삼불좌상
‘논산 쌍계사 소조석가여래삼불좌상’은 1605년에 조성된 석가여래삼불좌상으로 문화재청은 “조선 후기 대표적인 조각승인 원오스님의 현존 최고의 작품이자 특성이 잘 드러난 현존 최고의 대작”이라고 평가했다.

 

‘남원 선원사 목조지장보살삼존상 및 소조시왕상 일괄’은 1610년과 1646년에 제작된 불상으로 조선 후기 불교조각사 연구의 귀중한 자료로 꼽힌다. 이 상들은 각 17세기 초ㆍ중반의 시기적 특징을 잘 반영하고 있는 명부 조각의 대표작으로 평가된다. 존상들은 복장에서 발견된 발원문을 통해 두 차례에 걸쳐 조성됐음을 알 수 있다. 첫 번째는 원오스님이 1610년에 수조각승을 맡아 지장보살상과 시왕상 등 주요 상들을 조성했고, 두 번째는 도색스님이 1646년에 수조각승을 맡아 귀왕상과 사자상 등 기타 권속들을 제작했다.

 

‘완주 정수사 목조아미타여래삼존좌상’은 순치 9년(1652)에 무염스님이 수조각승을 맡아 완성한 작품이다. 문화재청은 “무염이 수조각승을 담당한 작품들은 불갑사 목조석가여래삼불좌상(1635년)을 포함, 여러 지역에 다수의 존상들이 전하고 있으나, 정수사의 아미타삼존상은 조형적인 면에서나 규모 면에서도 무염의 대표작이라고 할 수 있다”고 밝혔다.

 

‘김천 고방사 아미타여래설법도’는 1688년에 조성된 고방사의 후불화로서 민원스님을 수화승으로 해 죽총ㆍ경찬ㆍ각림스님 등 총 4명의 화승이 그렸다. 수화승 민원스님의 유일한 작품으로 본존의 키형 광배와 높은 육계의 표현, 천공 바탕에 표현된 화문 등 세부표현과 기법에서 17세기 후반 불화의 특징을 잘 간직하고 있다.

 

원주 구룡사 삼장보살도’는 1727년에 화승 백기스님과 영휘스님이 조성해 치악산 구룡사에 봉안한 불화이다. 이 불화는 <수륙무차평등재의촬요>, <천지명양수륙재의찬요>, <오종범음집> 등 수륙재의식집에 근거해 천장보살, 지지보살, 지장보살 등 세 보살의 회상을 묘사했다. 18세기 전반 영가천도와 추선공양을 위한 수륙재 의식 때 봉안된 작품으로서 이 시기 불화의 특징을 두루 간직하고 있다.

 

‘대구 서봉사 지장시왕도’는 18세기에 직지사를 중심으로 활동했던 수화승 세관스님이 1741년에 삼옥, 월륜, 서징, 순간, 존혜, 우평, 응잠 등과 함께 조성한 불화다. 이 불화는 세련되고 우아한 표현 형태와 필선으로 이 시기 지장시왕도의 대표작이다.

   

                영천 은해사 염불왕생첩경도.


‘영천 은해사 염불왕생첩경도’는 관음보살과 대세지보살이 중생들을 반야용선에 태우고 극락세계로 인도하는 장면과 이를 맞이하는 아미타불 일행, 극락연지에서 연화화생하는 왕생자, 보수와 극락조등 극락의 장엄한 모습을 극적으로 표현한 불화다. 문화재청은 “조선 후기에는 극락왕생의 모습을 직접 그린 불화가 약 20여 점 정도 남아 있는데 이 작품은 현존하는 조선 후기 극락왕생도 중 가장 이른 시기의 작품들 중 하나”라고 말했다.

 

‘보은 법주사 동종’은 1636년에 조성된 종으로 쌍룡의 종뉴, 2~3줄의 띠 장식, 하대의 부재, 기하학적인 유곽대 문양 등 토착화된 외래적 요소와 도식화된 문양을 보여준다. 보은 법주사 동종은 17세기 전반 승장계 종들인 동종과 같은 계열의 종으로서 조선 후기 범종 양식뿐 아니라 17세기 승장계 범종 연구의 좋은 자료 역할을 해왔다.

 

‘김천 직지사 대웅전 수미단’은 1651년 묵서기가 확인돼 이를 바탕으로 대웅전의 중건과 함께 17세 중반에 제작된 불단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이 불단은 조선 후기 불전 건축의 내부 장엄을 한 눈에 살펴볼 수 있는 귀중한 예이다.

 

‘부여 무량사 삼전패’는 1654년에 철학, 천승, 도균이 제작한 것으로 정확한 제작 연대와 장인들을 알려주는 묵서명이 있고 규모가 크다는 점 등에서 조선 후기 불교 목공예의 편년과 도상 연구의 기준이 될 수 있어 의의가 크다.

 

‘대방광원각수다라요의경(언해) 권하 1-1∼2, 2-1∼2’는 세조 11(1465)년에 간경도감에서 국역한 책을 바탕으로 경문의 한글 구결 부분만을 편집해 금속활자인 을유자로 간행한 불경이다.

 

   

             보성 대원사 극락전 달마대사 벽화.


보성 대원사 극락전 관음보살ㆍ달마대사 벽화’는 불전 내부 동ㆍ서 벽면에 관음보살도와 달마도를 배치한 독특한 사례이자, 운문사 관음보살 달마대사 벽화의 계보를 잇는 작품이다. 특히, 작품의 특징이 18세기 중후반 크게 활약했던 의겸파 화풍을 보이고 있다.

 

‘여수 흥국사 대웅전 관음보살 벽화’는 한지에 그려 벽에다 붙여 만든 첩부벽화라는 점에서 주목된다. 첩부벽화는 미황사 천불도 벽화에서 보듯이 보통 천장의 장엄화나 대량의 별화에 사용되었으나, 후불벽 전면에 예불화로 그려진 것은 이 벽화가 유일하다.

 

‘해남 대흥사 석가여래삼불좌상’은 전란 과정에서 의승군의 최고지도자로 활약했던 서산대사의 의발이 1606년에 대흥사에 봉안되고 6년 뒤에 제작된 불상이다. 좌우의 협시 불상에서 발견된 ‘소성복장기’ 에는 1612년이라는 정확한 조성 시기와 태전을 비롯한 제작에 참여한 10명의 조각승, 불상 제작에 필요한 시주 물목(물건의 목록)과 참여했던 380여 명의 사부대중이 모두 기록돼 불상의 가치를 한 층 높여준다.

 

‘소상팔경도’는 ‘소상팔경’을 주제로 한 8폭이 모두 갖추어진 작품이자 조선 초기 문인사회의 시화일치사상이 잘 녹아있는 대표적인 산수화이다. 문화재청은 “16세기 전반 안견파 화풍의 한국화 현상인 편파삼단구도, 넓은 공간, 해조묘의 수지법, 단선점준 등의 양식적 특성이 잘 드러나 있다는 점에서 회화사상으로도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면서 “이 작품은 현재 국립진주박물관에 소장했데, 재일교포의 기증을 통해 환수된 문화재라는 점에서 큰 의의가 있다”고 밝혔다.

 

‘대방광불화엄경 주본 권72’는 당(唐)의 실차난타가 신한 주본 80화엄경 가운데 제72권에 해당된다. 고려대장경을 간행할 때에 저본으로 사용되었던 수창 4년(1098) 판본의 국내 전래본으로 추정된다. 이 불경은 국내에서 보기 드문 희귀본이며 불경과 불교학, 서지학 연구에는 물론 고려 시대 목판 인쇄 문화의 연구에도 크게 활용될 수 있다.

 

문화재청은 이번에 보물로 지정 예고한 유물 17건에 대해 30일간의 지정 예고 기간을 거쳐 각계 의견을 수렴, 문화재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국가지정문화재 보물로 지정할 예정이다


 
 



불교일보 동영상 전문채널
서울 불교방송
가장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