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ulkyonews_header.jpg

 
작성일 : 14-12-11 23:00
[출판/공연] 3천년 리더쉽의 집대성<군서치요>출간
 글쓴이 : 양경연기자
 

  리더에게 필요한 인문정신은 이 책 한 권에 있다
당태종의 명으로 당대 최고의 신하들이 편찬한 통치술의 정수!
전쟁터를 누비다 독서가 부족했던 당태종, 역대 왕조의 제왕학 편찬을 지시하다


『군서치요』가 내용상 워낙 방대한데다 원문이 고문古文으로 되어 있는 점을 고려하면, 정무에 바쁜 현대의 지도자나 간부가 그 책의 정수를 깊이 있게 파악하기란 쉬운 일이 아니다. 그래서 이 책의 편역자 샤오샹젠은 『군서치요』 원전을 숙독한 바탕 위에서 이 책의 편찬과 그 전파된 역사를 소개하고, 『군서치요』 속의 통치이념을 체계적으로 정리했다.
중국의 수많은 경전의 핵심 내용을 모아놓은 『군서치요』 원전은 공교롭게도 중국 대륙에서 오랜 기간 사라졌다가 이웃 일본에 전해진 책이 나중에 발견되어 다시 중국에 전해지는 우여곡절을 거친 뒤, 최근 중국의 정·재계와 학계의 주목을 끌고 있다. 이 책은 『군서치요』 원전에 쉽게 다가갈 수 있도록 정리한 안내서라 할 수 있다


 이 책은 중국의 고전 『군서치요群書治要』를 국내에 처음 소개한 것으로, 중국의 고전 연구자인 샤오샹젠蕭祥劍이 풀어엮은 『군서치요심득群書治要心得』을 번역한 것이다. 『군서치요』는 당왕조 초년에 태종 이세민(599~649)의 명으로 편찬된 책이다. 16세에 부친을 따라 종군한 당태종은 10여 년간 군무로 분주한 나날을 보냈다. 27세에 황제에 즉위한 뒤에는 전쟁을 멈추고 문교에 힘을 기울였으며, 특히 혼란에 빠진 세상을 다스리는 방도에 유념하였고, 백성의 생활을 안정시키고자 하였다. 태종은 영민하고 용맹스러웠으며 언변이 뛰어났지만, 유감스럽게도 이른 나이에 종군하여 독서를 많이 하지 못했다. 그는 수나라가 멸망하는 것을 보면서 창업의 어려움과 수성의 험난함을 깊이 이해하였으며, 재위 기간 동안 뭇 신하들에게 정책의 실패에 대해 간언하고 비평하도록 독려하였다.


그리하여 당대 최고의 신하인 위징, 우세남, 소덕언 등에게 명을 내려 역대 제왕의 치국과 국정운영 사료를 정리하여 책으로 편찬하도록 하였다. 완성된 책의 이름은 『군서치요』. 역대 왕조의 사료를 집록하고, 경서·사서·제자백가서에서 수신·제가·치국·평천하와 관련된 핵심 내용을 선별하였다. 책이 완성되고 난 뒤, 위징은 서문에서 “현금의 사회에 사용되어 과거의 역사를 거울로 삼을 수 있게 하며, 후세에 전하여 자손들에게 훌륭한 방략을 제시할 수 있는” 치세의 보전寶典이라고 하였다.


엮은이  샤오샹젠 蕭祥劍

중국 후난성 출신으로, 십 년 넘게 출판업에 종사하였으며, 중국 전통문화를 접한 뒤로 『군서치요』를 집중적으로 연구하였다. 이런 노력에 따라 『군서치요고역群書治要考譯』과 『군서치요역주群書治要譯註』의 출간 작업에 주도적으로 참여하였다. 최근에는 홍콩과 동남아 등지에서 중국 전통문화를 주제로 한 대중강연을 활발하게 펼치는 한편, 온라인 강의를 통해서도 중국 고전을 알리는 데 주력하고 있다.

 

옮긴이 김성동

연세대학교 중어중문학과와 고려대학교 중어중문학과 대학원을 졸업했다. 연세대학교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했으며, 베이징대학교 고급진수과정을 수료했다. 연세대학교와 성공회대학교 등에서 강의했다. 중국어 번역서로 『職業規劃』 『職場定位』가 있으며, 『인문과학중국어강독』 『한의학중국어강독』 『중국희곡사』(공역) 『중국철학산책』(편역) 등의 저서와 번역서가 있다.

 

조경희

고려대학교 중어중문학과와 한국외국어대학교 통역대학원을 졸업했다. 고려대학교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했으며, 홍콩 중문대학IASP과정을 수료했다. 호원대학교와 열린사이버대학교에서 교수를 역임했으며, 이화여자대학교 통번역대학원과 한국문학번역원에서 강의했다. 중국어 번역서로 『韓國文化嚮導』 『讓我們富起來』 『深林之屋』 『醫道』 등이 있고, 『항주』 『장춘』 『마오의 독서생활』 『자본의 전략』(공역) 등의 저서와 번역서가 있으며, 중국어 교재와 중국 현대문학 분야의 논문이 다수 있다.


엮은이 샤오샹젠 |옮긴이 김성동 조경희 |값25,000원 |싱긋


 
   
 



불교일보 동영상 전문채널
서울 불교방송
가장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