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ulkyonews_header.jpg

 
작성일 : 02-04-09 00:00
[교양/문화] 6-7세기 경주 신라사찰, 치수 기능까지 겸해
 글쓴이 : .
 
    법흥왕  이래 선덕왕에 이르기까지 6-7세기 경주 지역에 집중 건립된 황룡사ㆍ영흥사ㆍ영묘사ㆍ분황사 등의 거대 사찰이  하천범람을 방지하는 치수(治水) 기능을 겸했다는 파격적인 주장이 제기됐다.

    서울대 지리학과 대학원 이기봉(李起鳳.35)씨는 최근 제출한 박사학위심사 통과논문 '신라 왕경(王京)의 범위와 지역에 관한 지리적 연구'에서 중고기  왕경(경주) 일대 거대 사찰이 들어선 지정학적 위치와 고고학적 발굴성과를 주목하면서  이같이 말했다.

    이씨는 이 무렵 건설된 사찰 대다수가 서천(西川)과 기존에 북천(北川)의  범람 영향을 받던 곳에 자리잡고 있었으며 또 사찰이 들어서기 전에는 황무지나 늪이었음이 고고학적 발굴성과로도 확인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를 발판으로 논문은 '이는 하천범람에서 왕궁이나 왕경 집단거주지를  보호해주던 늪지라는 완충지대를 신라인들이 파괴했음을 의미한다'면서 '사찰 건립은 그러한 제방공사의 일부분으로 진행되었을 가능성이 사찰 입지의 분포에서도  확인된다'고 덧붙였다.

    황룡사를 비롯한 경주시대 거대 사찰에 대한 개별 연구성과는 많으나 이를 치수 와 관련시킨 주장은 없었으며 더구나 이번 논문처럼 장구한 신라사 1천년과  운명을 같이하는 경주에 대한 연구를 지리학적 관점에서 접근한 글도 처음이다.

    논문은 신라 왕경의 태동과 팽창, 변모를 다각도로 검토하고 있다. 우선 경주가 영일만으로 흘러나가는 형산강 본류인 서천과 그 지류들이 북천 및 남천(南川)이 합류하는 평야지대에 자리잡고 있다는 사실을 주목한다.

    글은 이런 지리적 특성으로 인해 신라는 물론이고 고려-조선시대에  이르기까지 경주의 범람에 대한 기록이 끊임없이 발견된다고 지적하면서 이런 홍수 기록 대부분이 경주시내를 관통하는 여러 하천 중에서도 유독 북천에 밀집돼 있음을 주시한다.

    이씨는 지리적 특성으로 보아 그럴 수밖에 없다고 본다. 즉,  북천은  경주시내 동쪽 계곡을 흐르다가 소금강산과 명활산 협곡을 지나며 갑자기 현재의 경주시내 평지와 만나는 지리적 특성 때문에 빈번한 범람을 유발했다.

    나아가 논문은 북천의 범람 경로를 고고학적 발굴성과를 토대로 추적한다. 이에 따르면 북천 본류를 벗어난 물은 분황사.황룡사-안압지 북쪽-월성북쪽-월정교 터-남천을 따라 흘렀다.

    어쩌면 평범하게 보일 수도 있는 이러한 발견은 이번 논문에서 장구한 신라  왕경의 역사 복원을 위한 씨줄이자 날줄이 된다.

    신라는 북천 범람을 앉아서 당하지 않았다. 하천을 따라 제방과 제방림을  조성하는가 하면 6-7세기에 접어들어서는 제방림을 파괴하는 대신 황룡사와 분황사 같은 거대 사찰 건립을 통해 물을 다스리기에 이르렀다는 것이 이씨의 주장이다.

    아울러 논문은 북천이 범람한 지역에는 사찰 건립 이전까지만 해도 거주지가 조성되지 않았음을 주목하는 한편 상대적으로 안전한 월성과 첨성대 주변 일대가 초기 신라 왕경의 중심지였다는 주장을 펼치고 있다.

    이와 관련, 박혁거세가 신라를 건국한 지 20년째 왕성으로 쌓았다는 금성은  그 위치가 첨성대 부근이라는 주장 또한 주목할 만하다.

    그는 거대 고분군에 둘러싸인 이 일대만 유독 텅 비어 있고 고고학적 발굴 결과 왕궁지로 추정되는 거대 건물터가 확인되고 있으며, 그 아래층에서는 3-5세기  무렵 집단주거지가 확인되고 있음을 근거로 이곳이 금성이라는 견해를 제시한다.

    논문에 따르면 금성 중심으로 형성된 왕경은 1세기에 신라가 대대적인 대외  팽창에 나서기 시작하고 3-4세기 무렵에는 이미 지금의 경북 일대를 완전히  장악하는 것과 궤를 같이해 역시 팽창하게 된다. 거대 사찰 건립을 통한 범람 완충지대  파괴 또한 이러한 맥락에서 보아야 한다는 것이다.

    이와 함께 논문은 신라 및 신라 왕경의 모체가 되었던 사로 6촌이 기원전 1세기 신라 건국 이전에 이미 형성돼 있었음을 입증하면서 '신라 건국 이전에 초기 정착민들이 6촌을 자연스럽게 형성해 나가는 과정을 전하고 있는 「삼국사기」와 「삼국유사」 기록 역시 신빙성이 높다'고 덧붙이고 있다.


 
   
 



불교일보 동영상 전문채널
서울 불교방송
가장 많이 본 뉴스